계 최초로 정해진 기간이 지나면 체내에서 완전 분해되는 소화기계 스텐트가 국내에서 개발됐다.
26일 분당차병원은 소화기내과 권창일 교수가 참여한 연구팀이 일정 기간 이후 체내에서 완전 분화되는 이중층 생분해성 소화기계 스텐트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 소화기계 플라스틱 스탠드는 내경이 작아 빨리 막히고, 금속 스텐트는 확장력은 좋지만 제거할 때 또다시 수술을 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10년 전부터 삽입 후 체내에서 생분해되는 스텐트를 개발하려고 했지만 충분한 확장력을 확보하기 어려웠다. 또 체내 생분해과정에서 필라멘트(메디컬용 섬유)가 얇아지기도 전에 부러져 급성담도 폐쇄나 폐혈증과 같은 합병증 위험이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기존 소화기계 스텐트와 대비해 생분해성 스텐트가 가지는 한계 극복하도록 스텐트의 섬유의 생분해 기간을 달리한 이중층(sheath-core 형태)으로 구조화했다. 즉, 바깥층 스탠트는 생분해기간이 짧지만 복원력이 좋은 물질을 사용하고, 중심부는 생분해 기간이 오래 유지돼 스탠트의 팽창 유지력에 유리한 물질을 삽입했다.

생분해과정에서 필라멘트가 부러져도 이중막으로 보호되어 있어 조각들은 바깥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즉시 체외로 배출되거나 생분해 돼 합병증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 성공적이었다.
분당차병원 소화기내과 권창일 교수는“향후 임상연구를 통해 양성과 악성 협착에 의한 소화기계 폐색 및 비뇨기계 폐색, 외과 수술 후 협착 예방 등 다양한 분야로 치료 영역을 확대한다면 스텐트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세계 최고 내시경 저널인 다이제스티브 엔도스코피(Digestive Endoscopy, IF 4.8)에 발표됐다. 또 2020년 일본 추계 소화기학회(JDDW)에서 우수발표로 선정된 이번 연구는 중소벤처기업부 수출기업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저작권자 ⓒ 한국건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상은 기자
[email protected] -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