헷갈리는 여름철 단골 피부질환…여드름vs모낭염

여름은 피부를 자극하는 요소가 특히 많은 계절이다. 덥고 습한 환경에 직접 노출되기 때문에 여러 질환에 시달리기 십상이다. 그중에서도 여름철 단골 피부질환으로 꼽히는 여드름과 모낭염은 증상이 비슷해 혼동하기 쉽지만 원인과 치료법이 달라 구분이 필요하다.

여드름은 피지의 과다분비로 모공이 막히면서 생긴 염증에 의한 피부질환이다. 땀이 많이 나고 피지분비도 왕성해지는 여름에는 여드름이 발생하기 쉽다. 대부분 피지선이 모여 있는 얼굴, 목, 가슴 부위에 호발한다.


▲ 픽사베이

반면 모낭염은 털주머니인 모낭에 세균감염이 발생해 나타나는 감염성 질환이다. 세균이 침범한 깊이에 따라 ‘얕은 고름물집 모낭염’과 ‘깊은 고름물집 모낭염’으로 구분된다. 여름이면 빼놓을 수 없는 제모 후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여드름과 유사하지만 병변이 간지럽고 통증이나 발열, 오안, 부종 등의 전신증상을 동반한다는 특징이 있다.

피지덩어리의 유무 또한 중요한 차이점이다. 여드름의 경우 압출로 피지덩어리를 배출시키면 증상이 가라앉을 수 있는데, 모낭염은 압출을 시도해도 피지덩어리가 나오지 않는다. 오히려 염증이 심해져 더 크게 부어오르는 등 증상이 악화한다.

여드름은 항생제 또는 피지분비를 줄여주는 약을 복용하거나 도포해 치료한다. 또한 색소침착이나 흉터가 남지 않도록 전용 기구로 압출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 여드름은 고온다습한 환경, 호르몬 변화와 불균형, 접촉에 의한 자극 등 과도한 피지분비의 원인 요소를 최대한 피해야 한다. 증상이 나타난 후에도 추후 흉터가 남지 않도록 직접 손으로 짜거나 만지는 등 자극을 가하는 행동을 삼간다.

모낭염은 항생제를 복용하거나 연고를 도포해 치료할 수 있지만 재발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후 관리가 중요하다. 평소 올바른 세안을 통해 청결을 유지하고 제모를 할 경우 소독을 한 안전한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 특히 씻지 않은 손으로 얼굴을 자주 만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건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