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일반적인 치아 색상으로 흰색을 떠올린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원인에 의해 황니를 갖게 되는 경우가 많고 정도가 심한 경우 콤플렉스가 되기도 한다. 누런 이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치아의 착·변색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요인으로는 색소가 많이 첨가된 식품의 섭취, 흡연, 노화 등이 있다. 그 외에도 외상에 의한 신경 손상, 선천적인 이유에 따라 치아 색이 누렇게 변할 수 있다.

치아 착색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음식은 커피, 차, 레드 와인 등 타닌 성분이 포함된 음식이다. 또 탄산의 경우 산성 성질을 가지고 있어 치아의 표면이 손상돼 착색이 되기 좋은 환경을 만들 수 있다. 색소와 탄산이 결합된 음료를 즐겨 마신다면 탄산의 산성 성질에 의해 손상된 치아 표면에 색소가 침투해 착색을 유발하기 쉽다.
흡연 또한 황니의 주된 원인이다. 담배 속 니코틴 성분이 치아 표면에 달라붙어 변색을 유발하기 때문. 치아 표면을 덮고 있는 법랑질이 손상돼 내부의 노란색 상아질이 드러나 누런 이처럼 보이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는 선천적 요인, 노화, 잘못된 칫솔질 등에 의해 일어난다.
황니 콤플렉스가 심해 극적인 효과를 바란다면 라미네이트나 전문가 치아 미백술 등의 다양한 시술을 고려할 수 있다. 다만 치아 시림, 잇몸 염증과 같은 부작용을 동반할 수 있고, 평소 치아 변색을 유발하는 습관을 개선하지 않는다면 말짱 도루묵이 되기 쉽다.
누런 이에서 벗어나기 위해선 음식을 먹을 때 주의가 필요하다. 치아 변색을 일으키는 음식의 섭취를 제한하거나 섭취하더라도 곧장 양치질 또는 입을 헹궈 색소 침투를 최대한 막아야 한다. 양치질을 더 열심히 하거나, 덜 하는 것도 방법이다. 후자의 경우는 법랑질이 손상됐을 때 필요하다. 이 경우 잦은 칫솔질이 독이 되기 때문이다.
평소 미백 기능을 강화한 치약을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치약은 치아 미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단, 이 성분은 치아에 자극을 주기 때문이 이가 시린 증상이 있다면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한국건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정희 기자
[email protected] -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