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력이 커지는 계절, 가을 산을 찾는 등산객이 속속 보이고 있다. 이 외에도 건강을 위해 운동을 하는 사례도 있다. 다만 격렬한 운동과 등산 같은 취미가 무릎 건강을 위협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반월상연골은 무릎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는 섬유연골성 조직으로 대퇴골과 경골 사이에 위치해 있다. 이러한 연골이 손상되는 것을 반월상연골 파열이라 한다. 주로 다리를 움직일 때 받는 충격을 흡수해 관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반월상연골의 파열은 퇴행성 변화에 따라 나타날 수 있지만, 젊은층의 경우 격렬한 운동, 무리한 움직임, 강한 외부충격에 의해 파열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하체에 무게중심이 쏠리기 쉬운 등산, 스쿼트 등이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주요 증상은 무릎의 통증이다. 무릎을 구부렸다 펴는 동작을 할 때 소리가 나거나 통증을 느낄 수도 있으며 뼈와 뼈가 부딪친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이 외에도 무릎이 붓고 뻣뻣해지거나 갑자기 힘이 빠질 수도 있다.
반월상연골은 손상되면 재생할 수 없기 때문에 파열 후 방치할수록 증상이 악화해 퇴행성 관절염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아진다. 의심스러운 증상이 나타났다면 신속히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다. 경중에 따라 수술치료 또는 약물치료를 받게 된다.
가장 좋은 예방법은 평소 무릎에 불필요한 자극을 주지 않는 것이다. 격렬한 운동, 무리한 움직임, 강한 외부충격을 피해야 하고 평소 쪼그려 앉기, 양반다리, 무릎 꿇기와 같은 자세를 지양해야 한다. 또, 계단 사용, 등산, 축구 등 무릎에 부담이 큰 신체활동을 자제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저작권자 ⓒ 한국건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정희 기자
[email protected] -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