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수를 사기 위해 병을 들었을 때 라벨을 살펴본 적이 있는가? 지금이라도 살펴본다면 같은 생수인데도 어떤 제품은 ‘먹는 샘물’로, 또 어떤 제품은 ‘혼합음료’로 표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같은 물이지만, 다른 표기. 차이점은 무엇일까?
먼저 먹는 샘물과 혼합음료는 제조과정이 다르다.

먹는 샘물이 땅 속 토사나 암석의 빈틈을 채우고 있는 지하수나 용천수 등 자연 상태의 깨끗한 물을 첨가물 없이 용기에 ‘그대로’ 담은 것이라면, 혼합음료는 탈염과정을 거쳐 만들어낸 정제수에 미네랄·칼륨·비타민 등의 성분을 인위적으로 첨가한 것이다.
관리처 또한 다르다. 먹는 샘물은 수원지의 수질 관리가 중요하다 보니 환경부에서 관리·감독한다. 혼합음료는 여과·정제 과정을 거쳐 염분 등을 걸러낸 정제수에 다시 미네랄 등을 넣기 때문에 음료로 분류된다. 이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관리한다.
또, 먹는 샘물은 원수에 대해선 46개의 항목을 검사한 뒤 생산품은 50개 항목의 검사 항목을 거치며 혼합음료는 8개의 검사 항목을 거친다는 점도 차이점이다.
이러한 차이점이 있지만 음용에 있어 좋고 나쁨을 판단하기는 어렵다는 게 관계자의 입장이다.
제주 삼다수 홍보 관계자는 “먹는 샘물과 혼합음료는 생산 과정과 관리하는 부처의 차이가 있다”며 “어느 쪽이 더 좋다, 나쁘다 따지기는 어려운 문제”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건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정희 기자
[email protected] -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