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내년 1월부터 지자체 자체적으로 실내 마스크 해제를 선언한 가운데 정기석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 겸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 위원장은 고위험군의 중증·사망자를 확대할 수 있어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5일 정 위원장은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정례브리핑에서 “실내마스크를 벗으면 감염이 늘 것은 뻔하다”며 “고위험군 중심으로 발생하는 억울한 죽음과 고생에 대해 누가 책임질 것인지 등을 신중하게 고려해 실내마스크 착용의무 해제를 결정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대전시는 ▲ 식당·카페 등에서 이미 대부분 마스크를 벗고 있어 실효성이 떨어지고 ▲ 아이들의 정서·언어 발달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유로 정부가 12월 15일까지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조치를 해제하지 않을 경우 지자체 자체적 해제 조치를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정 위원장은 “지난 10월 말 한 3달 정도 참으면 이번 겨울 잘 넘기고 실내마스크 해제가 가능하다고 말했고, 자문위도 2차례에 걸쳐서 심도 있게 논의를 했지만 해제해야 하느냐, 유지해야 하느냐 논란이 지속돼 당분간 추세를 보겠다고 정리한 바 있다”며 “당장 이 시점에 실내마스크를 해지해야할 특별한 변화는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와 관련된 조건에 관해선 60세 이상 전 국민의 50%, 취약시설 거주자, 종사자의 60% 이상이 개량백신을 맞아야 하고 치료제 처방률이 더 올라야 한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정 위원장은 “현재 중증화율과 사망자가 더 줄어들어야 하고 최근 날씨가 매우 추워지며 3밀(밀폐·밀집·밀접)환경이 조성되는 등 이런 부분을 고려하면 보이지 않고 숨어 있는 확진자 수는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며 “백신 접종이 충분히 되고 숨어 있는 감염자들이 계속 감염하면서 자연면역을 얻게 되면 실내마스크 해제는 생각보다 빨리 올 수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 한국건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정희 기자
[email protected] -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