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 일상 속에서 대면할 수 있는 화상 사고는 초기 처치법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올바른 대처법을 숙지해야 한다.
화상은 불, 뜨거운 물,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 및 조직손상을 말한다. 손상 깊이에 따라 1~4도로 분류한다. 숫자가 높을수록 손상도가 깊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1도 화상은 피부의 표피층이 손상된 비교적 경미한 상태로 여름철 햇빛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피부가 붉게 변하고 국소 열감과 통증을 동반하지만, 대개 48시간 이상의 시간이 지나면 가라앉는다.
2도 화상은 피부의 진피층까지 손상된 상태다. 화상 물집이 생기고, 붓고, 심한 통증이 동반된다. 감염 위험이 있고 흉터가 남을 수 있다. 적절한 조치와 치료를 받으면 치유할 수 있지만 잘못된 처치로 2차 감염이 발생하거나 3도 화상으로 발전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3도 화상은 피부 전층이 손상된 상태다. 피부색이 갈색이나 검은색으로 변하고 피부 신경이 손상돼 통증을 느끼지 못하고 화상을 입은 부위의 감각이 둔해지거나 소실될 수 있다. 4도 화상은 피부 전층과 근육, 신경 및 뼈 조직이 손상된 상태다. 생명과 직결되는 위험한 단계이기 때문에 긴급 조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화상을 입었을 때는 즉시 차가운 물에 손상 부위를 식히는 것이 좋다. 단 얼음을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것은 감염의 위험이 있어 피한다. 상처 부위에 대한 임의 소독 또한 피해야 한다. 또 화상부위에 간장, 감자, 치약을 바르는 민간요법은 2차 감염이나 합병증을 부를 수 있어 반드시 삼간다.
<저작권자 ⓒ 한국건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정희 기자
[email protected] -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