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지러워야 빈혈? 원인별 빈혈의 종류와 증상

빈혈이라 하면 눈앞이 까마득해지는 어지러움증을 생각하기 마련이다. 급성 빈혈의 경우 이러한 증상을 느낄 수도 있지만 일반적인 빈혈은 원인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보일 수 있다. 서서히 진행되는 질병인 만큼 예방을 위해 원인별 빈혈의 종류와 증상을 알아본다.

빈혈은 혈액이 인체 조직에 필요한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해 조직의 저산소증을 초래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산소 공급은 적혈구의 기능으로, 빈혈은 적혈구 내의 헤모글로빈를 기준으로 삼아 진단한다.


▲ 픽사베이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남자 성인의 경우 혈색소 농도가 13g/㎗, 여자 성인의 경우 12g/㎗, 6~16세 사이의 청소년은 12g/㎗, 임산부와 6개월에서 6세 미만의 소아는 11g/㎗ 미만인 경우를 빈혈로 진단한다.

빈혈은 원인에 따라 종류가 달라진다. 먼저 철분 부족으로 발생하는 철결핍성 빈혈이 있다. 증상이 없는 경우도 많지만 대표적으로 피로감, 무기력감, 호흡곤란, 운동능력 저하, 어지럼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거대적아구성 빈혈은 엽산 또는 비타민B12의 결핍 시 발생한다. 주된 증상으로는 체력저하, 숨 가쁨, 설사와 부종이 나타난다. 또 용혈성 빈혈은 생성되는 적혈구보다 사라지는 적혈구가 많을 때 발생한다. 선천적으로 나타날 수 있고 약물, 감염 등이 원인일 수 있다.

이 외에도 골수 기능이 저하해 발생하는 재생불량성 빈혈, 혈액을 생성하는 조혈인자와 관련된 신장질환 또는 감염성질환에 동반된 빈혈이 존재한다.

빈혈의 예방을 위해선 지나친 다이어트, 불규칙한 식습관은 지양해야 한다. 또 온도 변화가 많은 수영 또는 사우나 등도 피하는 것이 좋다. 철분과 엽산이 풍부한 음식과 철분 흡수를 촉진하는 비타민C를 섭취하고 철분 흡수를 방해하는 카페인·탄산 음료는 피한다.  

<저작권자 ⓒ 한국건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