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바람이 불고 건조한 날씨가 시작되면 입술이 트고 갈라지는 등 구순염이 발생하기 쉽다. 구순염은 건조한 환경 외에도 바이러스, 알레르기 반응에 따라 나타날 수 있어 적절한 원인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순염은 입술에 생긴 일종의 피부 염증 반응으로 종류로는 박탈 구순염, 접촉 구순염, 구각 구순염, 단순포진 구순염 등이 있다.

가장 흔하게 알고 있는 구순염은 입술 전체가 트거나 갈라지고 껍질이 벗겨지는 박탈 구순염이다. 이는 춥고 건조한 날씨, 입술에 침을 묻히는 습관에 의해 나타나기 쉽다. 또 만성 피부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접촉 구순염은 화학물질에 자극에 따라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면서 발생한다. 주로 화장품, 치약, 구강청결제, 립스틱처럼 입술과 접촉하기 쉬운 물질에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다. 입술이 가렵거나 따가운 통증이 나타날 수 있고 증상이 심할 경우 진물과 딱지, 피가 날 수 있다.
구각 구순염은 감염성인 칸디다균 또는 포도상구균에 감염된 경우와 비감염성인 빈혈, 비타민B 결핍, 아토피피부염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로 구분된다. 이 외에도 과도한 침 분비를 유발하는 틀니 착용, 다운증후군 등의 원인도 있다. 입꼬리에 통증, 발적, 부종, 물집 등의 증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인이 다양한 만큼 치료방법과 예방법도 다양하다. 차가운 공기, 자외선, 건조한 환경 등 악화인자에 대한 노출을 피하고 보습제를 수시로 사용한다. 또 2차 감염이 의심될 때는 약물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입술에 침 바르기, 손톱 깨물기 같은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평소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 규칙적인 식습관을 유지해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건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정희 기자
[email protected] -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