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연히 해로울 거란 인식이 있는 ‘지방’에도 종류가 있으며 종류별 기능이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지방은 인체에 꼭 필요한 중요 영양소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지방의 종류는 포화지방, 불포화지방, 트랜스지방 등이 있다.

지방은 과잉 섭취할 경우 비만뿐 아니라 심장병, 심혈관 질환 등의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또 결핍 상태의 경우엔 피부 건조, 집중력 저하, 면역력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좋은 지방을 적당히 섭취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지방의 종류 중 불포화 지방은 착한 지방이라 볼 수 있다. 불포화 지방은 뇌에 많이 분포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콜레스테롤 수치를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다. 많이 함유된 음식은 등 푸른 생선과 견과류, 해조류 등이 있다.
포화지방은 주로 상온에서 고체나 반고체 상태인 동물성 지방으로 주로 육류 지방, 버터, 치즈, 가공기름 등에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포화지방은 피하지방층의 일부를 구성해 적당량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콜레스테롤과 결합하는 특징이 있어 과다 섭취할 경우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고 심혈관 질환, 뇌졸중 발병 가능성을 야기할 수 있다.
트랜스 지방은 해로운 지방이다. 식품 가공 단계에서 불포화지방산인 식물성 기름이 변형된 것으로 마가린과 쇼트닝 등에 다량 함유돼 있다. 트랜스 지방은 심혈관질환, 당뇨병 등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은 하루 섭취 열량 중 트랜스지방에 의한 열량이 1%를 넘지 않도록 권장하고 있다.
<저작권자 ⓒ 한국건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정희 기자
[email protected] -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