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은 피부에 대한 고민이 많아지는 시기다. 으뜸은 단연 보습이겠지만, 두드러기 때문에 고민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실내외 온도차가 큰 겨울엔 두드러기의 발생이 쉬운데, 특히 한랭 두드러기와 콜린성 두드러기가 대표적이다. 두드러기의 종류에 대해 알아본다.
두드러기는 벌레에 물린 것처럼 피부가 부풀어 오르는 팽진과 발적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을 말한다. 소양증이 있고 홍색 또는 흰색의 병변을 발견할 수 있다. 6주 안에 증상이 호전되면 급성으로 구분하고 6주 이상 지속된다면 만성 두드러기로 분류한다.

겨울철 잦은 한랭 두드러기는 찬바람 등의 자극으로 민감해진 혈관이 반응하면서 발생한다. 추운 날 길거리를 돌아다니다 엉덩이나 허벅지가 가렵거나 따가우면 한랭 두드러기를 의심할 수 있다.
추운 실외에서 따뜻한 실내로 들어왔을 때 피부가 따갑고 발진이 나타난다면 콜린성 두드러기를 의심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과도한 운동, 감정적 흥분, 뜨거운 목욕 등 심부 온도 상승의 원인이 발생하면서 증상이 나타난다.
피부에 물리적인 열이 가해져 생기는 열 두드러기도 있다. 열이 가해진 부위에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콜린성 두드러기와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 외에도 피부를 긁거나 때리는 등 강한 자극을 가했을 때 부풀어 오르는 피부묘기증, 햇볕을 쬐면 증상이 나타나는 일광 두드러기, 음식물에 의한 두드러기가 있다.
이처럼 두드러기의 원인은 다양하고 쉽게 발견하기 어렵다. 원인을 파악했다면 이를 피하는 게 상책이다. 항히스타민제를 활용한 지속적인 약물치료에도 호전되지 않거나 호흡기 점막에 부기가 생길 수 있는 혈관부종이 발생하는 경우엔 에피네프린 주사가 필요할 수도 있다.
두드러기는 꾸준한 약물치료를 통해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특히 원인 인자를 파악하고 있는 경우라면 회피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이 외에도 지나친 온도 자극을 피하고 충분한 보습이 증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저작권자 ⓒ 한국건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정희 기자
[email protected] -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