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꾸 입을 벌리고 자요”…‘상기도 저항 증후군’이란?

상기도 저항 증후군은 코를 골지 않아도 코를 곤 것처럼 피로하고 자주 깨는 등 수면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소리 없는 코골이로 알려진 이 증후군은 쉽게 알아채기도 어려워 의심 증상을 발견했다면 특히 주의해 개선해야 한다.

상기도 저항 증후군은 수면 시 기도가 좁아져 원활한 산소 공급이 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수면 중 호흡의 방해가 발생하면 잠에서 자주 깰 수 있으며 오랜 수면시간을 가져도 몸이 무겁고 만성적인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


▲ 픽사베이

일반적인 코골이가 비만과 관련이 깊은 반면 상기도 저항 증후군은 비만하지 않은 정상체중에서도 발견된다. 특히 선천적으로 기도가 좁거나 아래턱이 작은 사람은 똑바로 누웠을 때 혀가 뒤로 말리면서 호흡을 방해받기 쉽다. 또 호흡기 질환을 앓고 있을 때도 증상은 나타날 수 있다.

상기도 저항 증후군은 ▲입을 벌리고 잔다 ▲수면 중 호흡이 불편해 옆으로 눕게 된다 ▲깼을 때 입마름이 심하다 ▲충분한 수면 시간에도 기상하기 힘들고 만성 피로를 느낀다 등의 증상이 있을 때 의심할 수 있다.

예방을 위해선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축농증, 비염과 등의 호흡기 질환을 주의하고 실내 습도 조절에 신경 써야 한다. 또 혀가 뒤로 말리지 않도록 옆으로 누워 자고, 베개 높이를 조절하는 것도 방법이다. 무엇보다 개인의 원인요소 제거가 필요하기 때문에 정확한 수면 상태 진단을 위한 수면다원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저작권자 ⓒ 한국건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