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필립모리스 “일반 담배 끊기 어렵다면 ‘비연소 전자담배’로 전환해야”

완전한 금연에 어려움을 겪고있는 흡연자라면 비연소 전자담배를 사용하는 것이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필립모리스는 웨스틴 조선 호텔에서 ‘담배 위해 감소 연구와 담배 제품별 사용자 연구’를 주제로 과학·의학 세미나를 개최했다.


▲ 한국필립모리스 제공


이번 세미나에서 소개된 첫 번째 연구는 2021년 분당서울대병원 이기헌 교수 연구팀이 진행·조사한 500만명 이상의 의료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뤄졌다.

연구 내용은 일반담배 흡연자가 금연 후 궐련형 전자담배 등 비연소 담배 제품으로 전환, 5년 이상 사용 시 일반담배 흡연자보다 심혈관 질환 위험도가 2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 5년 이상 완전 금연자는 일반 담배 흡연자 보다 심혈관 질환 위험도가 37% 낮아지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 담배와 비연소 제품의 차이는 2021년 질병관리청이 수행한 ‘흡연자의 날숨 내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 연구’에서 일산화탄소 농도를 통해서도 나타났다.

연구팀이 담배제품별 사용자의 날숨에 포함된 일산화탄소 검출 수치를 비교한 결과, 궐련형 전자담배 사용자 중 약 92%는 4ppm 이하로 검출됐다. 이는 전원 4ppm 이하로 검출된 비흡연자 그룹과 유사한 결과였다. 그러나 일반 궐련담배 흡연자의 약 55% 날숨에서는 5~10ppm검출, 나머지 45%는 10ppm 이상 검출됐다.


같은 날 지젤 베이커 필립모리스 인터내셔널 과학부문 부사장은 일본의 의료정보 데이터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한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입원율 변화를 소개했다. 주로 장기간 흡연자에게 나타나는 COPD의 병원 입원율이 2017년부터 증가 추세에서 감소 추세로 전환됐다는 것이다.

베이커 부사장은 “실증적인 근거를 기반으로 비연소 대체 제품의 이익을 인정하는 국가들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며 “과학적 사실에 기반해 담배 위해 감소 정책이 공중보건 개선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 활용돼야한다”고 말했다.

한편, 김기화 한국필립모리스 커뮤니케이션팀 상무는 “이번 세미나에서 제시된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볼 때, 일반담배 흡연을 지속하려는 성인 흡연자는 비연소 대체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물론 전자담배 기기도 무해한 제품이 아닌 만큼 건강에 가장 좋은 선택은 금연”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국건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