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최신기사
  • 사회
  • 경제
  • 건강
  • 여행·레저
  • 연예·스포츠
  • 오피니언
  • 매거진
UPDATE : 2025년 07월 25일
  • 최신기사
  • 사회
  • 경제
  • 건강
  • 여행·레저
  • 연예·스포츠
  • 오피니언
  • 매거진
  • HOME
  • 기사검색

'힘찬병원'에대한 기사검색

[류승열의 정형외과 이야기] 비 오기 전 쑤시는 관절, 기분 탓이 아니다?

환자들이 많이 궁금해 하는 이야기들, 정형외과 의사로서 하고 싶은 이야기. 그 6번째 이야기다.-비가 오면 왜 관절 통증이 심해지나요?외래를 찾아오는 환자들 중에 많은 분들이 이제 본인이 날씨를 예측할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즉, 비가 내리기 전부터 이미 통증이 심해지

오피니언 류승열 힘내라병원 병원장 2021-05-18 09:51

4명 중 1명은 고혈압 “금주·금연·저염식으로 예방”

고혈압은 중장년층의 질병이라는 인식과 달리 젊은층 또한 고혈압에 대한 경각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고혈압은 대한민국 국민 4명 중 1명이 앓고 있을 만큼 흔한 질환이다. 대한고혈압학회에 따르면 국내 20대 이상 인구의 약 29%인 1200만 명이 고혈압을 앓고 있으

건강 이정희 기자 2021-05-17 17:30

[류승열의 정형외과 이야기] 관절염은 유전인가요?

환자들이 많이 궁금해 하는 이야기들, 정형외과 의사로서 하고 싶은 이야기. 그 5번째 이야기다.- 관절염은 유전인가요?모든 관절염은 유전성이 있다. 특히나 류마티스, 통풍성 관절염은 다른 관절염에 비해서 유전성이 많다. 원인에 따라서 퇴행성 관절염은 일차성, 이차성으로

오피니언 류승열 힘내라병원 병원장 2021-05-03 09:43

초보 엄마아빠가 알아야 할 ‘소아 응급 상황 5가지’

아직 말을 떼지 못한 소아는 몸이 아파도 표현할 수 없어 울기만 하는 경우가 많다. 소아에게 가장 많이 나타나는 발열, 피부발진, 복통 등의 증상은 시간이 지나 완화되는 경우도 있지만 자칫 응급상황이 될 수 있다.힘찬병원은 의학적 지식이 없는 초보 엄마 아빠를 위해 소

건강 이정희 기자 2021-04-23 12:02

[류승열의 정형외과 이야기] 무릎에서 소리가 나는데 괜찮은 건가요?

환자들이 많이 궁금해 하는 이야기들, 정형외과 의사로서 하고 싶은 이야기. 그 4번째 이야기다.- 무릎 관절에서 소리가 나는데 괜찮은 건가요?관절에서는 정상적으로 특별한 질환이 없어도 소리가 날 수 있다. 환자가 외상을 받은 과거력이 없고 통증을 느끼지 않으면서 소리가

오피니언 류승열 힘내라병원 병원장 2021-04-19 09:41

[류승열의 정형외과 이야기] 연골주사, 한 번 맞으면 계속 맞아야 하나요?

환자들이 많이 궁금해 하는 이야기들, 정형외과 의사로서 하고 싶은 이야기. 그 3번째 이야기다.- 연골 주사와 뼈 주사는 어떻게 다른 건가요?무릎 관절염 때문에 통증이 있는 환자들에게 연골 주사를 놔 드린다고 하면 많은 환자 분들이 궁금해서 물어보는 질문이 있다.▲ 류

오피니언 류승열 힘내라병원 병원장 2021-04-05 13:18

[류승열의 정형외과 이야기] 정형외과 원장님의 QnA ②

환자들이 많이 궁금해 하는 이야기들, 정형외과 의사로서 하고 싶은 이야기. 그 2번째 이야기다.- 시술과 수술 어떻게 다른 건가요?진료를 보다 보면 환자분들이 다른 병원에서 시술을 권유 받았다고 하면서 시술과 수술은 무슨 차이가 있는지 궁금해한다. 정형외과에서 시술이라

오피니언 류승열 힘내라병원 병원장 2021-03-22 09:09

[류승열의 정형외과 이야기] MRI 대신 CT촬영하면 안 되나요?

보통 병원에 가서 진료를 보게 되면 환자가 의사와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시간은 그리 길지 않다. 필자 역시 하루에 70명 정도의 환자를 봐야 하기 때문에 환자 개개인에게 많은 시간을 할애해서 설명해주지 못하는 것이 늘 아쉬움으로 남는다.▲ 류승열 목동힘찬병원 원장필자

오피니언 류승열 힘내라병원 병원장 2021-03-08 09:26

[류승열의 정형외과 이야기]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 말기라면

퇴행성 관절염 말기에는 관절 연골이 다 닳아서 위 아래 뼈가 맞닿게 된다. 이런 상태가 된 대부분의 환자분들은 극심한 통증을 느끼고 걷기가 힘들어지게 된다. 특히 계단을 내려갈 때는 체중이 더 실리기 때문에 통증이 더 심해진다. 이런 환자들은 결국 인공 관절 수술을 하

오피니언 류승열 힘내라병원 병원장 2021-02-15 18:33

[류승열의 정형외과 이야기]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 중기라면③

이전에 관절염 중기에 할 수 있는 수술적 치료 방법으로 관절내시경과 절골술에 대해서 알아봤다.▲ 류승열 목동힘찬병원 원장 오늘은 관절내시경과 절골술을 시행할 때 같이 할 수 있는 줄기세포 치료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무릎 관절은 줄기세포 치료를 가장 많이 하는 관절이다.

오피니언 류승열 힘내라병원 병원장 2021-02-01 19:19

[류승열의 정형외과 이야기]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 중기라면②

관절염 중기에는 보존적 치료를 해도 대부분의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고 얼마되지 않아서 다시 증상이 재발을 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 류승열 목동힘찬병원 원장이런 적극적인 치료 방법 중에 대표적인 방법이 관절내시경이고 이전에 관절내시경에 대해

오피니언 류승열 힘내라병원 병원장 2021-01-18 19:16

[류승열의 정형외과 이야기]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 중기라면①

관절염 중기 환자들은 지속적으로 무릎이 붓고 아프고, 조금만 걸어도 통증을 느끼게 된다.이런 경우 정형외과 의원에서 약, 주사, 물리치료와 같은 보존적인 치료를 하게 되면 그 당시에는 증상이 조금 호전되지만 시간이 조금만 흘러도 다시 통증이 지속된다.퇴행성 관절염이 초

오피니언 류승열 힘내라병원 병원장 2021-01-03 22:23

[류승열의 정형외과 이야기]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이라고요?

슬관절은 골관절염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위다.대부분 관절의 퇴행성 변화는 고령에 기인하지만 슬관절부의 다른 병변이나 외상, 내,외반 슬 등 기계적 축의 이상, 감염 등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서 관절내 구조물의 노화 및 마모로 인해서 점차 관절이 파

오피니언 류승열 힘내라병원 병원장 2020-12-20 19:14

  • 6
  • 7
  • 8
  • 9
  • 10

최신기사

2025-07-23 11:16
건강

감염병, 팬데믹 전에 잡는다…씨젠, 감염병 분석 플랫폼 ‘STAgora’ 공개

2025-07-23 11:14
경제

파스쿠찌, 이탈리아 여름 콘셉트 ‘3단 완전자동 우산’ 2종 출시

2025-07-23 11:13
경제

던킨, 간편하고 든든하게 즐기는 샐러드 2종 출시

2025-07-22 10:30
경제

단통법 폐지…‘갤폴드7’ 공짜폰 될까?

2025-07-22 10:11
건강

슬리퍼를 신고 달린다고?

오피니언 more

  • 오피니언

    내 몸 속 독소를 제거하는 ‘해독요법’에 대해

  • 오피니언

    [황일증의 골프 회원권 월간 정보] 가을 시즌 앞두고 골프회원권 시세 보합세 지속

  • 오피니언

    [황일증의 골프 회원권 월간 정보] 본격 무더위 속 골프회원권 시세 보합세 이어져

'힘찬병원'에대한 기사검색 인기기사

  • 1

    슬리퍼를 신고 달린다고?

  • 2

    단통법 폐지…‘갤폴드7’ 공짜폰 될까?

  • 3

    더운 여름, 집안일 부담 줄여주는 작지만 강력한 ‘신흥 이모님 가전 5가지’

  • 4

    테팔, 편리한 요리의 시작을 돕는 ‘프라이머리 도마세트’ 출시

  • 5

    감염병, 팬데믹 전에 잡는다…씨젠, 감염병 분석 플랫폼 ‘STAgora’ 공개

  • 6

    던킨, 간편하고 든든하게 즐기는 샐러드 2종 출시

  • 7

    파스쿠찌, 이탈리아 여름 콘셉트 ‘3단 완전자동 우산’ 2종 출시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문의

제호 : 한국건강신문 | 법인명 : (주)한국건강신문 | 등록번호 : 서울,아53395 | 등록일자 : 2020년 11월 23일
발행인 : 장진석 | 편집인 : 안재만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정희 | 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삼일대로 308 조양빌딩 본관 12층
발행일자 : 2020년 11월 16일 | 대표전화 : 02) 6011-2803

한국건강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배포 시 관련 법에 따라 처벌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2020 thekoreahealth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