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과학·ICT 정책제안 토론회 개최…“국가과학기술 인프라 시스템 필요”

우주·과학·ICT(정보통신기술) 여성전문가 1000인이 모인 발족 및 정책제안 대회가 열렸다.

국민의힘은 4일 오전 10시 30분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 국회의원회관에서 국민의힘 조명희 의원 주관으로 과학기술분야 여성전문가들의 참여 하에 정책 제안 대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우주·과학·ICT 여성전문가 1000인이 모임 발족 및 정책제안 대회. 엄정한 기자 제공


조 의원은 과학기술분야에서 21차례의 국회토론회, 세미나를 개최해왔으며 특히 디지털자산, 가상자산 특별위원회를 만든 장본인이다.

1부에 이은 2부 ‘우주·과학·ICT 정책제안 토론회’에는 윤미옥 한국여성벤처협회 수석부회장(우주기술진흥협회 위성활용위원), 김영민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 사무국장, 김란숙 IT여성기업인협회 수석부회장(연세대 전자공학과 연구교수), 정건희 한국수자원학회 여성위원회 위원장(호서대 건축토목공학부 교수), 서민아 전국여교수연합회 이사(성균관대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 박현성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이사(서울시립대 생명과학과 교수)가 패널로 참여해 과학기술분야의 미래에 대한 논의를 펼쳤다.

발제를 맡은 김 사무국장은 우주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제안을 제안했다.

김 사무국장은 “우주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우주과학 사업의 연속성 보장이 필요하다”며 “우주부품의 국산화를 위한 인프라가 필요하고, 정부부처 및 민간의 위성 데이터 활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발제를 맡은 윤 수석부회장은 “우리나라도 미국의 NASA처럼 대통령 직속 국가우주항공청을 설립하여 국가운영 위성의 모든 위성정보를 일원화하여 관리 및 서비스할 수 있는 범정부차원의 위성정보 데이터 관리체계 확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현성 서울시립대 생명과학과 교수는 “20년간 여성과학자로서 대학에서 기초과학을 연구하고 있는데, 과학기술인재육성을 위한 과학교육혁신이 필요하다”며 “또한, 일과 가정의 양립이 어려운 상황에서 과학기술자들을 위한 차기 정부의 대안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서 교수는 대학민국 과학기술정책 20년을 진단하면서 “20년 동안 많은 투자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의 머릿속에 그 과학적 성과가 쉽게 떠오르는 것이 없다. 현재의 미국을 있게 한 과학연구개발국(OSRD), 미국연구재단(NSF)의 토대 위에 인터넷, 페니실린, 소나(Sonar) 기술이 등장했다. 이러한 과학기술인프라 위에서 모더나 같은 과학기반 스타트업이 세계를 구하고 있다. 우리도 이러한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좌장을 맡은 조 의원은 “대한민국의 100년을 먹여 살릴 국가과학기술 인프라 시스템을 만들어줄 대통령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우주, 과학, ICT 여성전문가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건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